온누리상품권 사용처와 10%할인 기간, 구매처를 정리해봤습니다.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 활성화 등을 위해서 소상공인진흥공단에서 발행합니다. 가맹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한데요.대체로 전통시장이 많고, 그 외 개인 사업장에 가맹점 등록이 되어 있으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. 특히 명절에는 온누리상품권 10%할인을 하는 경우가 많아, 이 때 사두고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.
온누리상품권 10% 할인기간
온누리상품권 10%할인 기간을 알아봅니다. 보통 상시로 판매하는 것이 5%이고 모바일로 판매하는 것이 10%인데요. 명절기간을 맞이하여 구매한도가 확대되었습니다. 기간은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한달 간입니다.
![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은행에서 구매하는 지류 상품권의 경우 월 한도가 50만원인데, 9월 한달간 70만원으로 확대됩니다. 또 8월 29일에 런칭한 충전식 카드 사용과 모바일을 이용하면 월 100만원, 10%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.
현재 카드 충전식 형태는 8월 29일에 새로 런칭한 것으로, 월 100만원과 10%할인은 9월까지는 유지될 예정이며 이후에는 예산 소진시 할인 폭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.
온누리상품권 10% 할인 구매처
![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기존에는 은행에서 구입이 가능했었는데, 지금은 지류상품권만 은행에서 단독으로 구매가능하고 모바일 상품권은 기타 앱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. 올해 8월 29일에 새로운 사용방법이 추가되었는데요. 바로 카드에 충전식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. 기존의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그대로 쓸 수 있어 가장 편리한 방식으로 다가옵니다.
구분 | 판매처 |
지류상품권 | 은행 16곳 : 신한은행, 우리은행, 광주은행, kb은행, 대구은행, 부산은행, 전북은행, 경남은행, 수협,우체국, 신협, nh농협은행, ibk기업은행, 수협은행, 하나은행, mg새마을금고 |
전자상품권 | 우리은행, 대구은행, 부산은행, 경남은행, IBK기업은행, 비씨카드, NH농협은행 |
모바일상품권 | 시럽, 제로페이010, 올원뱅크(농협), 투유뱅크(경남), 스마트뱅킹(광주), IM뱅크(대구),썸뱅크(부산),뉴스마트뱅킹(전북), 머니트리, 비플제로페이, 체크페이, 페이코,유비페이, 신한은행, 핀트,핀크, 제로페이 온, 티머니페이, 우리은행,콕뱅크 |
충전식 카드형 | 온누리상품권 앱 이용 카드사 : 신한, 현대, 삼성,하나, 국민, 농협, 비씨카드 (은행11곳포함) |
마지막으로 충전식 카드형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기존에 가지고 있던 카드를 앱에 등록하여 충전 후에 실물 카드 결제 방식으로 사용하는 형태입니다. 티머니나 기존에 쓰던 지역형 화폐와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9월 한달 동안에는 10%할인을 받을 수 있고, 카드 사용실적까지 반영할 수 있습니다.
![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기존의 카드를 사용할 수 있어 가장 편리한 방식인데요. 젊은 분들의 사용을 늘리기 위해서라고 하는데, 어르신분들은 처음 이용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조금 있을 것 같습니다.
![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온누리상품권 앱을 꼭 다운 받아야하며, 기존의 카드를 등록하면 됩니다. 카드사는 신한, 현대, 삼성, 하나 등 시중의 모든 카드가 거의 이용가능한데요. 비씨카드의 경우 은형 연계 카드도 사용가능하니, 체크카드만 있는 분도 확인해보시면 사용 가능할 것 같습니다.
기존의 카드 사용실적도 추가되며 할인되니, 이용자분들이 늘어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온누리상품권 사용처
![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오프라인은 시장, 혹은 가맹점이 붙어 있는 매장입니다.제로페이 가맹점과는 조금 다르게 온누리상품권이 있는지를 확인하셔야합니다.
주변에 아는 가맹점이 없다면 정보가 나와있는 홈페이지에서 지역을 검색하시면 가맹점리스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온누리마켓, 전통시장 통통 같은 홈페이지입니다.
![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또한 모바일과 충전식 카드형, 전자상품권은 온라인에서도 사용가능한데요.온라인 사용처 또한 아래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.
온누리상품권,온누리마켓,전통시장쇼핑몰
온누리상품권, 온누리 전통시장 통합 쇼핑몰,온누리마켓, 전통시장쇼핑몰, 전통시장쇼핑, 모바일온누리상품권, 온누리모바일상품권, 온누리상품권 사용처, 온누리상품권가맹점
onnurimarket.kr
연결이 되지 않는경우 온누리마켓, 전통시장 통통을 검색하시면 됩니다.
출처 :기획재정부,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
'일상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추석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시간, 휴게소 코로나 검사 (0) | 2022.09.07 |
---|---|
태풍 힌남노 경로 제주도 비행기 결항 대처법 (0) | 2022.09.05 |
한국 애플페이 현대카드 확정적, 9월 예정? 팩트체크 (1) | 2022.08.30 |
2022년 추석 대체 공휴일 , 일하면 휴일수당은? (0) | 2022.08.28 |
인천시 청년월세 지원사업 신청방법, 자격, 모집 기간 (0) | 2022.08.19 |
댓글